감염병인 결핵이 최근 증가 추세에 있어 결핵질환 감염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결핵 Q&A 자료를 게시합니다.
본인의 건강을 챙기고 결핵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보시고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결핵! 제대로 알고 대처해야 합니다.
Q1. 결핵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감염되나요?
A1. 활동성결핵환자의 기침, 재채기 등에서 나온 미세한 가래(침)방울 속에 포함되어 배출된 결핵균이
호흡기를 통하여 타인에게 전염되는 질환입니다.
단순한 신체 및 물건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결핵환자와 접촉한 사람의 30%가 감염되며, 감염된 사람 중
10%는 감염 후 결핵환자가 됩니다.
정상세포를 천천히 망가뜨려서 마치 치즈와 같은 고름덩어리
핵을 형성한다 하여 “결結 핵核”이라 부릅니다.
폐,신장,신경,뼈,뇌수막 등 모든 기관이나 장기에서도 발견되나 거의
대부분(약85%) 폐에서 발병하여 “폐결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폐결핵 이외의 결핵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Q2. 결핵균은 특징은 무었인가요?
A2. 막대모양으로 다른 병균들에 비하여 증식이 천천히 이루어
지며 세포벽이 단단하여 생존력이 아주 강한 병균입니다.
이런 이유로 증식이 상당히 진행된 이후에야 증상이 나타
나게 되며, 발병하게 되면 반드시 항결핵제를 6개월 이상
복용해야됩니다. 생존력이 강한 병균으로 발병 이후에는 우리몸의 자연면역기능으로는 제거되지 않으며 방치시에는 폐에 육아종이 가득차고 공동(구멍)이 생겨 회복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3. 결핵! 없어진 질병 아닌가요?
A3. 결핵은 인류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질병으로 석기시대
그리고 미이라에도 결핵흔적이 나타납니다.
우리나라는 인구10만명당 환자수가 OECD국가 중 1위이며
인구가 과밀하고, 결핵을 대수롭게 여기지 않아 증상이 발현된
이후에도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고, 1명의 활동성
결핵환자(양성환자)가 많은 사람에게 감염시키고 있어 전인구의
1/3이 결핵균보균자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Q4. 결핵균보균자가 많다고 했는데 이들이 모두 결핵환자인가요?
A4. 아닙니다. 전인구의 1/3이라는 것은 잠복감염상태를 말합니다.
결핵균이 몸안에 있으나 면역기제에 의하여 발현되지 않고
몸속에 잠자고 있는 경우입니다.
통계상 100명이 감염되면 그 중 90명은 평생동안 건강하고
5명은 1-2년이내에 결핵이 발병되며, 나머지 5명은 면역저하시
발병됩니다.
Q5. 결핵질환도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던데?
A5. 첫째, ① 잠복감염 : 증상이 없고, 결핵균이 잠자고 있는 상태로 전염성이 없음
둘째, ② 비활동성결핵 : 자연치유 또는 약물치료로 치유된 경우 X-RAY에만 나타나고 전염성 없음
셋째, ③ 활동성결핵 : 잠복결핵균이 면역이 약해진 틈을 타 증식하여 병증이 나타나고 전염성 있음
넷째, ④ 내성결핵 : 결핵환자가 치료 중단, 약제를 불규칙하게 복용하거나, 복용중단한 경우
결핵약에 내성이 생겨 치료가 어려움. 치사율 높음, 입원치료 필수
※ 내성결핵환자는 반드시 입원치료하여야 하며, 타인에게 내성결핵균을 전염시키므로 주의
Q6. 결핵은 치료가 잘 되나요?
A6.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제들을 1일 1회 꾸준히 6개월 이상 복용하면 대부분의 신규 환자는 완치됩니다.
① 결핵치료실패요인 : 치료중단, 불규칙한 약복용, 약복용 중단 등이며 추후 재치료시 치료가 어려
우며 내성결핵으로 발전함, 복용약제도 훨씬 많아짐.